
안녕하세요, 돈독한 유니맘 쉼표입니다.
오늘은 조금 씁쓸하면서도 꼭 알아야 할 소식,
2025년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기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해요.
💸 2차 소비쿠폰, 누가 받나요?

2025년 9월 22일부터 시작되는 2차 민생소비쿠폰 지급.
1차와는 다르게, 이번에는 전 국민이 아닌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90% 국민에게만 1인당 10만 원이 지급됩니다.
“나도 혹시 상위 10%?”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이런 걱정을 하시더라고요.
솔직히 말해, 10만 원 없다고 당장 밥을 굶진 않지만…
남들 다 받을 때 나만 못 받으면 은근 서운하잖아요? 😅
📊 상위 10% 소득 기준은?

정부는 기준 중위소득 210% 초과자를
상위 10%로 보고 있습니다.
그럼 가구별 월 소득 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 1인 가구 | 502만 원 초과 |
| 2인 가구 | 825만 원 초과 |
| 3인 가구 | 1,055만 원 초과 |
| 4인 가구 | 1,280만 원 초과 |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실제 월급이 아닌 '건강보험료' 납부 금액으로 판단한다는 점이에요.
국민건강보험 바로가기
국민건강보험
본인부담상한제 건강보험 본인일부부담금 총액이 본인부담상한액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액을 공단에서 부담하는 제도입니다.
www.nhis.or.kr
행정안전부 바로가기
행정안전부> 업무안내> 지방재정경제실> 민생회복 소비쿠폰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www.mois.go.kr
🏥 건강보험료 기준은?

예를 들어, 4인 가구의 경우
건강보험료 52만 1,170원 초과 시 상위 10%로 분류되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이 기준은 ‘직장가입자’ 기준이며
‘지역가입자’는 산정 방식이 달라질 수 있어요!
💼 고소득이 아니라 자산가도 제외?

소득 기준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아래 조건에 해당되면 ‘고액 자산가’로 분류되어 쿠폰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재산세 과세표준 12억 초과
- 연간 금융소득 2,000만 원 이상
👉 부동산으로만 보자면, 수도권 자가 한 채만 있어도 12억 넘는 경우가 꽤 많죠.
👉 주식 배당이나 예금 이자 수익이 높은 분들도 해당됩니다.
🤯 1인가구 & 맞벌이가구는 억울하다?

여기서 논란이 생기는 부분이 있어요.
- 1인 가구는 동일한 소득이라도 건보료가 더 높게 책정돼서 불리하고,
- 맞벌이 부부는 각자 건보료를 내기 때문에 합산 시 고소득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커요.
서울에서 자가도 없이 월 1,000만 원 버는 맞벌이 가구도
이 기준으로 보면 상위 10%로 분류될 수 있다는 이야기.
정부도 이 문제를 인식하고
1인가구 및 맞벌이 가구에 대한 특례 조항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지만,
아직 구체적인 내용은 발표되지 않았어요.
📝 2차 민생소비쿠폰 신청 방법

| 신청 기간 | 2025년 9월 22일 ~ 10월 31일 |
| 신청 대상 | 상위 10% 제외, 약 90% 국민 |
| 지급 금액 | 1인당 10만 원 |
| 신청 방법 | 카드사 홈페이지/앱, 지역사랑상품권 앱, 은행, 주민센터 |
| 지급 방식 | 신청 후 1~3일 내 포인트 충전, 11월 30일까지 사용 필수 |
✔️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 기초수급자도 동일하게 10만 원 지급됩니다.
🧾 나는 받을 수 있을까?

정리하자면,
건강보험료 납부액 기준으로 상위 10%인지 판단되며,
재산/금융소득이 높아도 제외될 수 있다는 점!
정확한 기준은 건강보험공단이나 정부 홈페이지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 마무리하며: “못 받아도 괜찮아요…? 진짜요?”

솔직히 말하면,
정부의 ‘돈 풀기’ 정책에 대해
걱정하는 분들도 많지만,
자영업자, 프리랜서, 저소득 근로자에게는
이런 소비쿠폰이 단기적인 생계 마중물이 되기도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1차 때는 다소 부정적이었지만,
이번엔 생각이 좀 바뀌었어요.
당장 필요한 건 큰 그림보다 지금의 생계니까요.
혹시 나도 상위 10%라 못 받는다면…
기분은 좀 씁쓸하겠지만, 그래도 잘 살고 있다는 증거 아닐까요? 😉